한국의 장기寄贈(기증) 희망 등록 및 관리 체계는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KONOS)을 정점으로 하여, 한국장기조직기증원(KODA) 및 한마음한몸장기기증센터 등의 실무 기관이 역할을 분담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구조는 투명성과 효율성을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이번 글에서는 각 기관의 역할과 서로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에 대해 알아봅니다.
한국에서 신청과 관리는 다음의 세 기관에서 이루어집니다.
1.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KONOS) www.konos.go.kr
2. 한국장기조직기증원 (KODA) www.koda1458.kr
3. 한마음한몸장기기증센터 www.obos3042.or.kr
1. KONOS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
✅보건복지부 산하 국가기관입니다.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제20조에 따라 전국의 등록 자료를 총괄·통합 관리합니다.
✅KODA, 한마음한몸장기기증센터 등 각 등록기관에서 접수된 정보가 최종적으로 KONOS에 연계되어 저장됩니다.
주요업무
- 데이터 총괄: 전국의 모든 희망 등록 및 철회 정보를 단일 데이터베이스로 통합 관리합니다. (KODA, 한마음한몸 등을 통해 접수된 모든 정보의 최종 저장소)
- 법적 관리: 이식 대상자 선정, 장기 분배, 이식 의료기관 지정 및 관리 등 이식 전반에 걸친 국가 관리 체계를 수립하고 운영합니다.
- 정보 조회 및 증명: 개인의 장.기.기.증 등록 여부 조회 및 등록 철회(취소) 요청의 공식적인 최종 처리를 담당합니다.
- 정책 수립: 장.기.기.증 활성화 및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관련 통계를 생산합니다.
따라서 KONOS에서는 “어느 기관을 통해 등록했는지”를 조회할 수 있고, 철회(취소) 요청도 공식적으로 처리 가능합니다.
2. KODA 한국장기조직기증원
KODA는 실제 장기기증 실무를 현장에서 전담하는 보건복지부 지정 전문 기관입니다.
✅비영리 재단법인이며, 보건복지부 지정 ‘기증조정기관’입니다.
✅상담, 희망 등록, 철회 요청을 접수하고 KONOS 시스템에 정보를 전달합니다.
즉, 실제 등록·취소 신청 창구 역할을 담당합니다.
주요업무
- 상담 및 희망 등록 접수: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장.기.기.증.에 대한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고, 희망 등록 신청 및 철회 요청을 접수하여 KONOS 시스템으로 실시간 연계합니다.
- 기증 조정(Coordination): 뇌사 장.기.기.증. 발생 시, 현장에 출동하여 기증자 가족 상담, 의무기록 검토, 적합성 판단, 이식 대상자 매칭을 위한 정보 입력(KONOS 연계) 등 전 과정의 실무를 총괄 수행합니다.
- 교육 및 홍보: 장.기.기.증.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대국민 교육 및 홍보 활동을 수행합니다.
모든 데이터는 KONOS로 연계되어 국가 데이터베이스에 반영됩니다.
3. 한마음한몸장기기증센터
이곳은 종교적 기반을 둔 민간의 장기기증 활성화 노력을 국가 관리 체계와 연계하는 기관입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 산하 비영리기관으로, 복지부 위탁을 받아 희망 등록만 수행합니다.
이 기관도 접수된 데이터를 KONOS로 이관하여 국가 시스템에 반영합니다. 따라서 이곳을 통해 등록했더라도, KONOS에서 최종 데이터가 관리됩니다.
주요업무
- 寄贈 희망 등록 접수: 주로 대국민 홍보 캠페인과 연계하여 희망 등록 신청을 접수하는 창구 역할을 합니다. (KODA와 달리 '기증 희망 등록' 업무에 중점을 둡니다.)
- 생명 나눔 문화 확산: 종교계 및 사회 전반에서 생명 나눔의 가치를 확산하기 위한 활동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개인이 어느 기관(KODA, 한마음한몸 등)을 통해 등록했는지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최종 관리자인 KONOS에 문의하면 자신의 등록 내역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가가 장기기증 정보를 중앙집중식으로 관리하여 혼선을 방지하고 등록 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