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하차 미태그 규정
2. 패널티 누적 기준과 초기화
3. 하차 미태그 발생 원인
4. 패널티 방지 방법
5. 하차 가능한 서울 이외의 지역
6. 마무리
서울시가 추진하는 기후동행카드는 지하철, 시내버스, 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한강버스를 월 정액으로 무제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교통 정기권입니다. 서민 교통비 절감과 대중교통 이용 확대라는 정책 목표로 도입되었지만, 이용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규정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많은 시민들이 실수하는 부분이 바로 하차 미태그 패널티입니다. 단순한 실수라도 2회 누적되면 정지 조치가 내려지기 때문에, 이용 전에 반드시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1. 하차 미태그 규정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하면서 하차 태그를 2회 이상 누락할 경우, 두 번째 미태그가 발생한 교통수단의 승차 시점부터 24시간 동안 이용이 정지됩니다. 정지 기간 동안에는 지하철·버스·따릉이 모두 사용할 수 없으며, 24시간이 경과해야 다시 정상 이용이 가능합니다.
2. 패널티 누적 기준과 초기화
일반 교통카드는 하차 미태그시 다음 승차에 기본요금이 두배로 부과되는데 기후동행카드는 무제한 카드이므로 요금을 부과할 수 없어 미태그 패널티 부여합니다.
이 패널티는 기후동행카드 사용기간(30일권) 동안 적용됩니다. 즉, 한 번의 정기권(30일) 내에서 누적 횟수를 기준으로 삼으며, 새롭게 충전된 다음 30일권부터는 누적 기록이 초기화됩니다. 따라서 한 달 단위로 다시 0회부터 시작된다고 이해하면 됩니다.
미태그 하차 시, 별도의 벌금은 없으며, 승차역부터 하차역까지의 운임을 역무원에게 정산하면 됩니다.
3. 하차 미태그 발생 원인
1) 급하게 내리느라 단말기에 태그하지 못한 경우
2) 카드 인식 오류
3) 서비스 범위 외 역에서 하차할 경우
여기서 3번의 경우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이 카드의 경우 서울지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서울 지역에서 승차했더라도 하차를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할 경우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적용이 되지 않는 역을 미리 알고 여정을 떠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4. 패널티 방지 방법
1) 지하철 적용 구간 검색하기
서울시 홈페이지 > 교통 > 버스, 지하철, 택시 > 기후동행카드 > 기후동행카드 서비스범위 검색
경로로 찾을 수 있습니다.
2) 서울 버스정보시스템 (BIS) 검색하기
30일 사용기간동안 패널티 2회 누적된 경우 정지되며, 정지된 24시간 동안은 어떠한 교통수단도 이용할 수 없습니다. 24시간 이후에는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하차 가능한 서울 이외의 지역
2025년 8월 9일부터 하남시 지하철 구간에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졌습니다!
미사, 하남풍산, 하남시청, 하남검단산역에서 승, 하차가 가능합니다.
또한 하남시를 경유하는 서울시 면허버스인 342, 3417, 3316, 3318, 3323, 3413 버스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5호선 전구간이 사용가능하게 되었습니다. 5호선은 서울을 동서로 관통하는 노선으로 다른 1~9호선 노선으로 모두 환승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더 높아졌습니다.
3323번의 경우 잠실 선착장도 경유합니다. 9월 18일부터 운항이 시작된 한강버스와의 연계 이용도 가능해졌습니다.
동북권 (남양주, 구리), 서북권 (김포, 고양), 동남권 (성남, 과천) 지역도 확대되어 이 카드를 이용한 서울 주변 지역으로의 이동이 더욱 편해졌습니다.
✅ 김포 골드라인 모든 10개 역
✅ 구리, 남양주시:
➡️별내선 6개 역 (암사역사공원, 장자호수공원, 구리, 동구릉, 다산, 별내)
➡️진접선 3개 역 (별내가람, 오남, 진접)
✅ 고양시:
➡️3호선 10개 역 (삼송, 원흥, 원당, 화정, 대곡, 백석, 마두, 정발산, 주엽, 대화)
➡️경의중앙선 10개 역 (한국항공대, 강매, 행신, 능곡, 대곡, 곡산, 백마, 풍산, 일산, 탄현)
✅ 서해선 6개 역 (일산, 풍산, 백마, 곡산, 대곡, 능곡)
✅ 과천시: 4호선 5개 역 (선바위, 경마공원, 대공원, 과천, 정부과천청사)
✅ 성남시:
➡️8호선 7개 역 (남위례, 산성, 남한산성입구, 수진, 단대오거리, 신흥, 모란)
➡️수인분당선 10개 역 (가천대, 태평, 모란, 야탑, 이매, 서현, 수내, 정자, 미금, 오리)
➡️경강선 3개 역 (판교, 성남, 이매)
✅ 하남시: 5호선 4개 역 (미사, 하남검단산, 하남시청, 하남풍산)
✅ 부천시: 7호선 6개 역 (까치울, 부천종합운동장, 춘의, 신중동, 부천시청, 상동) - 하차만 가능합니다.
✅ 인천시(부평구): 7호선 5개 역 (삼산체육관, 굴포천, 부평구청, 산곡, 석남) - 하차만 가능합니다.
다음은 서울 주변으로 서비스가 확대된 지역의 모습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지도입니다.
6. 마무리
기후동행카드 미태그 패널티는 교통 이용의 공정성과 원활한 환승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작은 부주의로도 24시간 동안 불편을 겪을 수 있으므로, 항상 하차 태그를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0 댓글